Search

“여기에 내 자리는 없지 않을까”… '그 생각'이 너무 가깝다 - 한겨레

beritaproductapple.blogspot.com
[조용한 학살을 멈추자]
20대 여성 7명의 이야기
“지지 않고 잘 살고 싶어요”
한국 20대는 남녀 모두 힘들다. 취업 첫발이 쉽지 않다. 수년간 이어진 고용시장 침체에 올해는 코로나19라는 재난이 겹쳤다. 이런 상황은 20대 여성에게 더 가혹한 결과로 이어졌다. 통계청 월별 고용동향을 보면, 코로나 1차 확산 여파가 컸던 올해 3~4월 20대 여성 취업자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4만1천명 줄었다. 20대 남성 취업자 감소폭(9만3천명)의 2.6배에 달했다. 20대 여성 자살률은 급증하고 있다. 10만명당 20대 남성 자살률(통계청)은 21명(2017년)→21.5명(2018년)→21.6명(2019년)으로 큰 변화가 없지만, 20대 여성 자살률은 11.5명→13.2명→16.6명으로 44% 가파르게 증가했다. 2020년 상반기 20대 여성 자살사망자(보건복지부)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43% 늘었다. 추세가 꺾이지 않고 있는 것이다. 특정 연령대에서만 극단적 선택 비율이 급증하는 것은 위기경보이자 구조신호다. 숫자들은 위기에 내몰리는 20대 여성을 가리켰지만 사회는 주목하지 않았다. 보이지 않는 20대 여성들은 사회에서 설 자리를 조용히 잃어갔다. 누구도 관심 갖지 않는 20대 여성의 위기를 임윤옥 한국여성노동자회 자문위원은 ‘조용한 학살’이라고 했다. 지난 달 <한겨레> 젠더 미디어 <슬랩>이 ‘조용한 학살이 다시 시작됐다’고 알리자 20대 여성 수천명이 좌절과 분노, 희망과 위안의 댓글로 공감했다. 그제서야 정부는 20대 여성의 극단적 선택을 예방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섰다. <한겨레>는 20대 여성의 목소리를 또렷하게 전하려 한다. 그 목소리에 답이 있기 때문이다. 조용한 학살은 이제 멈춰야 한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한겨레>는 11월 말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줄 20대 여성을 찾았다. 비정규직으로 일하거나 취업을 준비 중인 여성 7명이 나서주었다. 5명은 서면으로, 1명은 전화로, 1명은 대면으로 인터뷰를 진행했다. 이들에게 현재 마음 상태, 경제적 여건, 사회적 지지망은 어떤지를 물었다. 5명은 우울함이나 불안, 강박, 무기력 증세로 정신건강의학과 도움을 받고 있거나 받은 적이 있다고 했다. 2명은 진지하게 병원 방문을 고려하고 있었다. 인터뷰에 응한 이들은 태어난 연도만 공개한다.(91년생 ㅇ씨, 95년생 ㅎ씨, 95년생 ㄱ씨, 95년생 ㅈ씨, 96년생 ㄱ씨, 97년생 서씨, 97년생 송씨)
“작년까지만 해도 하루에 한 번씩 생각했다.”(95년생 ㅎ씨)
“우연한 계기로 고통 없이 갈 수 있다면 당장 선택할 거다.”(95년생 ㄱ씨)
▶ 관련 기사 바로 가기 
[연재] 조용한 학살을 멈추자 http://www.hani.co.kr/arti/SERIES/1504/
“우리 같이 열심히 살아남아요”… 댓글을 들려드려요
https://ift.tt/3lo1qSE
“20대 여성들은 지금 ‘셀프 헬프’ 중”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972430.html
① “살고 싶어서 병원에 갔거든요” 95년생 ㅈ씨
(1년 계약직, 1인 가구, 월 소득 110만원, 소속감 집단: 딱히 없음) 취업을 준비 중인 95년생 ㅈ씨는 몇 달 전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우울, 불안, 강박, 무기력 모두 높은 수치란 진단을 받았다. 매일 밤 처방받은 약을 먹고 잠자리에 든다. 2주에 한 번씩 병원에 가고 있다. “병원에서 제 불안 점수가 거의 만점이라고 해요. 약을 먹어도 불안해서 약이 도움되는지는 잘 모르겠어요.” 지난 20일 서울 마포구 한 카페에서 만난 ㅈ씨는 미래에 대한 막연함, 불안함이 학교에 소속돼 있을 때보다 취업준비생으로 사는 지금 더 심하다고 했다. “원래 회사에서 여성을 뽑는 비율이 적다고 들었는데, 코로나 때문에 채용시장이 얼어붙어서 전체 채용 인원 자체가 줄면 거기서 여성의 파이는 얼마일까요. 이젠 내 자리가 없을 것 같아요.” 지난해 취업 공고를 훑어볼 때 비하면, 올해는 코로나 때문인지 공고 자체가 확 줄었다고 했다. “여자들이 힘들다고 해요.” ㅈ씨는 주변 친구들도 많이 우울해하는 상황이라고 했다. “서류에서 계속 떨어지고, 죽고 싶을 정도로 힘들 땐 친구들한테 말하기도 조심스러워요. 친구들 다 취업 준비하는 20대 여성인데, 이 애들도 이미 자기 몫으로 충분히 우울한 사람들이거든요.” 현재 ㅈ씨는 서울에 혼자 살며 월 110만원 안팎의 사무 보조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다. 5평 원룸에 사는데 매달 생활비로 70~80만원 정도가 든다. 늘 절약하고 돈을 모아야 한다는 강박감이 있다. “(경제 문제에서) 난 그냥 이미 글렀다는 생각이 들어요.” ㅈ씨는 일터에서 열심히 일하고, 취업 준비도 열심히 하지만 요즘은 ‘별 희망이 없다’는 생각이 든다. 특별한 계기 없이도 무기력한 느낌이다. 부동산 뉴스를 볼 때, 채용 비리 뉴스들을 볼 때 특히 더 그렇다.
“취업하려고 하는 쪽은 코로나 시국과 관계없이 그냥 사람을 적게 뽑아요. 얼마 전 공고 보니 딱 1년 계약직이더라고요. 들어가는 게 나은 것인지 아닌지 진짜 모르겠어요. 한번은 제가 원하는 직무에 6개월 인턴 자리가 뜨길래 되게 고민하다 결국 원서를 넣긴 넣었어요. 하다 보면 6개월 뒤에 다른 뭐가 있을까…, 되게 ‘현타’(현실 자각 타임)가 오는 거 있죠.”
ㅈ씨는 우울에 지고 싶지 않다고 했다. 병원에 치료를 받으러 간 것도 잘 이겨내고 싶어서다. “이 세상이 환멸 나고 지긋지긋하더라도, 저는 성공해서 잘 살고 싶은 그런 욕망도 비등비등해요. 현실은 시궁창이지만 되게 잘 살고 싶거든요. 잘 살 방법을 찾으려고 병원에 간 거예요. 그래도 나 열심히 살고 싶은데.…”
② 단기 알바와 생활비의 굴레, 91년생 ㅇ씨
(단기 아르바이트, 1인 가구, 월 소득 불규칙, 소속감 집단: 친구) “올해까지만 살아있자.” 91년생 ㅇ씨는 1년 뒤, 3년 뒤 생각은 하지 않는다. 자꾸 틀어지는 계획을 세우는 게 의미가 없어서다. 자신한테 실망하는 이유만 될 뿐이다. “그냥 이번 달까지만 살아있자, 올해까지만 살아있자, 그런 식으로 생각해요.” 기자와의 전화통화에서 ㅇ씨는 ‘앞으로 뭘 하고 싶다’, ‘1~3년 사이에 이런 걸 해야겠다’ 같은 것을 만들지 않는다고 했다. ㅇ씨는 3년 전 세상을 등지려 했다. 계획을 행동에 옮기려 했다. 다행히 친구의 신고로 구출되면서 ㅇ씨의 계획은 중단될 수 있었다. 이후 ㅇ씨는 한동안 덤덤하게 지냈다. 하지만 요즘 다시금 크게 힘들 때, 또 그 생각이 찾아온다. 그는 대학에 진학하지 않고 20대 초반 집을 나왔다. 부모님이 자신의 명의로 빚을 지는 바람에 늘 ㅇ씨를 따라다니는 부채를 갚느라 20대 내내 고생을 했다. 지난해 겨우 빚을 청산했지만 늘 생활비에 쫓긴다. 단기 알바를 구할 뿐 꾸준한 소득을 예상할 수 없는 처지다. “한 1년이라도 안정적인 생활비가 있으면 취업 공부를 할 수 있을 텐데….” 최근 꽤 괜찮은 두 달짜리 알바를 구했다. 소득이 200만원 생기는 기회라 놓칠 수 없었다. 하지만 더 나은 일자리를 찾으려면 꼭 해야 하는 공부를 미뤄야 한다.
“이게 엄청 큰 딜레마에요. 생활비를 벌어야 해서 (더 나은 일자리를 위한) 공부를 미루게 되고, 일을 하다보면 공부를 놓게 되고, 그럼 안정적 일자리를 위한 공부는 못하게 되고…, 그럼 또 아무 일이나 하게 되고, 그럼 몸이 상하고, 그럼 병원에 가고, 병원에 가려면 일을 해서 생활비(병원비)를 벌어야 하고…, 이런 식으로 계속 반복이 되고 있어요. 일상에서 힘든 건 거의 항상 돈 때문이죠. 돈만 있었으면…, 이런 생각 하죠.”
지금 ㅇ씨가 문을 두드릴 수 있는 사회안전망은 없다. “긴급생계비 지원 같은 조건에 저는 해당 사항이 없어요. 차상위층이나 가정폭력 피해자는 어떤 지원을 받을 수 있다던데 저는 그게 아니라서요. 불규칙적이나마 소득도 있어서요.” 그는 세상 사람들이 ‘열심히 노력해’라고 말하면 반항심이 든다. ㅇ씨에겐 늘 자신을 괴롭히는 지병이 있다. 항상 몸에 통증을 달고 사는 병이다. “제가 몸이 아프잖아요. 정신과 병원에서도 그렇고, 주변 친구들도 그렇고 ‘운동하면 다 나아’, ‘노력하면 다 낫는다’, ‘나가서 걸어라’ 이러면 엄청 짜증 나는 거예요. 통증이 발바닥에도 있어서 걸으면 무조건 아프거든요. 걸으면 아픈데 ‘나가서 걸어라’ 그러면 더 할 말이 없죠….”
③ “매일 합니다. 그 생각” 95년생 ㄱ씨
(프리랜서, 월 소득 200만원, 소속감 집단: 가족) 95년생 ㄱ씨는 답변지에 “맨날 합니다”라고 적었다. 그는 “그냥 하는 말이 아니라, 진심으로 그렇게 생각해서 병원에 가야 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고 했다. ㄱ씨는 ‘그냥 죽어야겠다’가 말버릇이라고 했다. 당장 극단적 선택을 할 계획을 세운다는 건 아니다. 하지만 그는 “그냥 우연히 죽고 싶은 마음”이라고 했다. 한번은 병원의 도움을 받기로 마음먹고 정신건강의학과에 방문한 적이 있다. 약을 처방받았는데 잘 안 맞는 것 같아서 복용을 그만뒀다. ㄱ씨는 요즘 다른 병원에라도 다시 한 번 가봐야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 무엇이 그리도 ㄱ씨를 힘들게 하는 것일까. 내년 2월 대학 졸업을 앞둔 ㄱ씨는 현재 방송업계에서 프리랜서로 일한다. 한 달 200만원을 손에 쥐지만 일주일에 몇 시간 일하는지조차 가늠되지 않는다. “그냥 눈 뜨고 있을 때는 거의 일합니다. 퇴근 후에도 언제든 연락 오면 최대한 빨리 일을 해야 합니다.” 일자리가 있고 소득이 있다고 해서 또래보다 형편이 나은 것은 아니다. ㄱ씨는 일자리에 대한 만족도가 무척 낮다고 했다.
“현재 하는 일에 대한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1점입니다. 업계가 열정페이가 심해요. 기본급이 좀 올랐으면 좋겠습니다. 일한 것에 비해 보상이 적고 페이는 너무 짠 편이에요. 딱히 삶이 희망적이지 않아요. (미래가) 잘 안 그려져서 그냥 좀 일찍 삶을 마치는 것도 괜찮겠다 생각해요.”
ㄱ씨는 자신을 원래 ‘욕심과 의욕이 많은 사람’이라고 했다. 하지만 어떤 계기로 한번 번아웃(소진)이 찾아온 뒤 요즘은 ‘별 희망이 없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예전에 고시원에 살았을 때 혼잣말하는 버릇이 생겨서 지금까지 계속됩니다. 창문 없는 곳에서 온종일 말 한마디도 안 할 때가 있다보니 정말 정신질환에 걸리겠더라고요.” 지금은 부모님이 주신 전세금으로 얻은 집에서 언니와 살며 그나마 생활 환경이 나아졌지만 앞으로 삶의 경로는 잘 그려지지 않는다. ④ 3년 뒤 내 모습이 그려지지 않는다 코로나19가 덮친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극단적 선택을 시도한 사람 3명 중 1명은 20대 여성이다. 올해 상반기 20대 여성 자살자 수는 전년도 같은 기간에 견줘 43% 늘었다. 이런 통계들에 대해 당사자인 20대 여성들은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었다.
“죽고 싶다는 생각을 하는 데엔 경제적 이유가 가장 크다고 생각해요. 같은 20대 여성 중에서도 경제적으로 어려울수록 극단적 선택을 생각하거나 시도할 확률이 높은 것 같아요. 이런 뉴스를 볼 때 괜찮은 일자리, 그러니까 경제적 기회를 이들에게 줬으면 달랐을 텐데 이런 생각을 해요. 지금은 몇 안 되는 불안정한 일자리를 놓고 같은 20대 여성들끼리 경쟁하고 있거든요.”(97년생 송)
코로나19로 고용 충격이 심했던 3~4월, 20대 여성 고용률은 모든 연령·계층 가운데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인터뷰에 응한 7명은 주로 취업을 준비하면서 생계형 아르바이트를 하거나, 부모님께 생활비를 지원받고 있었다. 일하는 경우 소득은 적었고, 일자리는 불안정했다. 그들은 일상에서 식비나 문화생활을 최대한 줄이려 노력하지만, 이미 최소한의 생활비로 사는 그들에게 절약마저 쉽지 않다. 주거 환경이 열악한 점을 호소하는 경우도 많았다. 1평 방의 셰어하우스, 5평 원룸, 고시원, 볕이 들지 않는 하숙방 등은 이들을 정신건강 위기로 몰아넣은 조건 가운데 하나였다. 91년생 ㅇ씨에게 ‘이것만 개선되면 좀 낫겠다’ 싶은 딱 한 가지를 꼽아달라고 했다. 그는 “안정된 주거”라고 답했다. 현재 그는 보증금이 없는 월세 20만원의 셰어하우스에 살고 있다. 거실에 책상과 식탁이 있지만 개인 방은 1.2평이다. “너무 오랫동안 고시원이나(열악한 곳에 살았어요). 이사도 너무 자주 다니고. 그런 식으로 힘들게 살아서, 그런 것(이사)들만 없어도 제가 조금 편안하게 어느 한 곳에서 일할 수도 있고 이사 다니면서 쓰는 힘을 덜 쓸 수도 있겠다고 생각해요.” 인터뷰에 참가한 이들은 공통으로 당장 코앞의 미래조차 그릴 수가 없다고 했다. 95년생 ㅈ씨는 요새 계획 세우는 걸 포기했다. “3년 후 내가 어디에 입사해서 어떤 프로젝트를 하고 5년 후에는 대리가 되어서…. 그런 구체적인 설정을 못 하겠어요.” 그는 그럴듯한 계획을 세우지 않음으로써 오히려 무기력에서 빠져나온 것 같다고 했다. “오늘 할 것 미루지 말고, 이번 일주일 행복한 생각 하면서 잘 보내고, 또 이번 한 달 잘 보내자, 이런 식으로 생각하니까 무기력증이 조금 괜찮아졌어요. 3년, 5년 뒤? 그냥 오늘 쓸 자소서 잘 궁리하고 자자, 이렇게 생각해요.” 이들은 특히 젊은 여성이기 때문에 겪는 경험들이 일상을 옥죈다고 털어놓았다. 혼자 사는 집의 문을 누군가 갑자기 두드리는 일은 수시로 있다. “한국에서 여자로 태어났으면 밤늦게 누가 문 두드리고, 이런 게 너무 디폴트(초기값) 경험이잖아요.”(95년생 ㅈ씨) 아르바이트 면접에서 ‘얼평’(얼굴 평가)을 당한 경험이 숱하게 공유되고, 일상에서 외모 비교를 당할 때도 많다. “(외모를) 가꾸는 사람들이 많은 직업군에 있다 보니 외모를 가꿔야 한다는 강박이 조금 병적으로 생겼습니다. 한때 밤에 거울을 봤는데 얼굴이 비정상적으로 왜곡돼 보이고, 그래서 생각도 안 했던 부위의 성형외과 상담을 받으러 돌아다닌 적이 있어요. 아무래도 한국은 외모지상주의 사회니까요.”(95년생 ㄱ씨) 김미향 기자 aroma@hani.co.kr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으로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 자살예방 핫라인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등에 전화하면 24시간 전문가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

Let's block ads! (Why?)

기사 및 더 읽기 ( “여기에 내 자리는 없지 않을까”… '그 생각'이 너무 가깝다 - 한겨레 )
https://ift.tt/3lvwVtW
대한민국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여기에 내 자리는 없지 않을까”… '그 생각'이 너무 가깝다 - 한겨레"

Post a Comment

Powered by Blogger.